![]() |
개요 |
가족심리상담사는 가족간의 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또는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담을 통해서 미리 예방 하는 일을 하며 이미 발생한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원만히 해결해 행복한 가정을 만들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일을 한다. 이 과정에서는 가족생활교육의 이론적 관점 및 개발과정을 배우고 상담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실제를 탐구하며, 가족상담의 실제에서 필요한 기법과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검토하여 가족 상담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한다. 가족심리상담사는 가족문제를 이해하고 그 예방법과 대처법을 제시하는 가정복지를 위한 전문상담사를 말합니다.
![]() |
교육목표 |
다양한 가족치료이론과 상담기법을 활용하여 부부 및 가족구성원들의 심리를 진단, 분석, 평가 , 상담을 수행하여 가족의 긍정적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는 가족심리상담 전무가로서의 직무수행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.
![]() |
교육과정 |
과정 | 시험과목 | 내 용 |
기초입문
과정 (2급) |
심리학 입문 | 현대인의 정신건강, 심리학의 이해, 대인관계 심리학, 조직문화심리 |
---|---|---|
발달이론 | 아동발달, 발달심리 | |
가족관계론 | 가족 및 가족관계 기초개념, 가족관계 이론, 현재의 가족문제(이혼, 가족폭력 등)의 이해와 예방법 | |
중급자 과정 (1급) |
임상심리학 | 임상심리학의 역할, 심리검사 제작의 원리, 인지행동치료, 현대심리치료, 정서장애의 이해, 범죄심리학 |
상담심리학 | 부모상담의 이론과 살제, 청소년 이해와 병리, 가족상담, 집단상담, 분석심리학 | |
가족상담치료 | 가족치료의 기본 개념, 가족상담 이론과 기법 | |
전문가 과정 | 면접 및 연수 | 면접과 실무연수를 통한 현장실습 |
* 교육 기간 및 과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* 온/오프라인 교육형태에 따라 가장 효과적이고 적합한 커리큘럼으로 진행됩니다.
![]() |
취업분야 |
- 심리상담 분야 : 청소년 및 성인상담 기관, 복지관련 기관에 취업
- 놀이치료 분야 : 유아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기관에 취업
- 임상심리 분야 : 일반병원 정신과 또는 정신보건센터에 취업
- 미술치료, 예술치료, 독서치료 등 관련된 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하고 전문가로 활동
청소년상담기관 | 교육기관 | 상담및 심리치료 기관 | 사회시설 | 기업체 |
한국청소년상담원 시·도청소년지원센터 청소년수련관 |
대학교 상담실 학원 상담실 중고등학교상담실 | 상담기관 사설 상담소 정신의료기관 보건소 |
소년보호기관 사회복지기관 교도소 재활원 |
기업부설 상담소 직업상담소 기업연수원 |
![]() |
한국심리상담사협회 자격 |